대한민국 원주민

Element 2010. 3. 24. 00:33
겉으로 드러나는 경우는 없지만 내 마음 깊숙한 곳에는,
도시에서 태어나 유치원이나 피아노학원을 다녔고 초등학교 때 소풍을 엄마와 함께 가봤거나
생일파티란 걸 해본 사람들에 대한 피해의식, 분노, 경멸, 조소 등이 한데 뭉쳐진 자그만한 덩어리가 있다.
부모님이 종종 결혼을 재촉하는 요즘 이전에는 한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어쩌면 존재하게 될지도 모를 내 자식을 상상하게 된다.

상상하다보니 마음이 불편해졌다.
그 아이의 부모는 모두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졌을 가능성이 크고
아버지는 화려하거나 부유하지는 않아도 가끔 신문에 얼굴을 들이밀기도 하는 나름 예술가요
아버지의 친구라는 사람들 중에는 이름을 대면 알 만한 인사들이 섞여 있어
그 아이는 그들을 삼촌이라 부르며 따르기도 할 것이다.
엄마가 할머니라 놀림 받지도 않을 것이고
친구들에게 제 부모나 집을 들킬까봐 숨죽일 일도 없을 것이고
부모는 학교 선생님과 동등한 입장에서 대화를 할 것이며
어쩌면 그 교사는 제 아비의 만화를 인상 깊게 본 기억을 가진 사람일지도 모른다.
간혹 아버지를 선생님 혹은 작가님 드물게는 화백님이라 부르는
번듯하게 입은 사람들이 집으로 찾아들 것이고 이런저런 행사에 엄마아빠 손을 잡고 참가하기도 하리라.
집에는 책도 있고 차도 있고 저만을 위한 방도 있으리라.
그리고 아버지는 어머니를 때리지도 않을 것이고
고함을 치지도 술에 절어 살지도 않을 것이고 피를 묻히고 돌아오는 일도 없어서
아이는 아버지의 귀가를 두려워하지 않아도 되리라.

그 아이의 환경이 부러운 것도 아니요,
고통 없는 인생이 없다는 것을 몰라서 하는 소리도 아니다.
다만 그 아이가 제 환경을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제 것으로 여기는,
그것이 세상의 원래 모습이라 생각하는,
타인의 물리적 비참함에 눈물을 흘릴 줄은 알아도 제 몸으로 느껴보지는 못한
해맑은 눈으로 지어 보일 그 웃음을 온전히 마주볼 자신이 없다는 얘기다.

만화책을 읽은 책 목록에 넣기에는 부끄럽기에 넣질 않는다.
그러나 최규석의 책은 예외이다.
미술관 화보집을 그림책이라 말하지 않듯이 나는 그의 책을 만화책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설정

트랙백

댓글

암울한 이공계

사는 이야기 2008. 3. 20. 22:00

사용자 삽입 이미지

   EYE에 갔다가 이 기사를 보고 깜짝 놀랐다. 이 법이 계속 이렇게 시행이 된다면, 사실상 이공계인들은 한 직장에서, 그 곳에서 무슨 일을 시키던 평생 일해야 한다. 3년간 동종 업종으로 가지 못한다는 이야기는 사실상, 연구원을 하다가 3년동안 피자나 치킨을 팔고 있으라는 것과 같다. 기술의 유출을 막는다는 이름하에 만들어진 법이라지만 소수의 기술유출범들을 위해 다수의 이공계 인들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다.

   실제 직장에 다니는 분들의 이야기가 궁금해 과학기술인연합회인 Scieng.net에 달려가 보았다. 아니나 다를까, 법이 입법되려고 하던 2004년부터 반대 서명을 하였지만 과학인들의 목소리가 항상 그렇듯 묻혀버렸다. 법에 대한 대다수 사람들의 의견은 어서 빨리 더 열심히 공부해서 해외로 나가야겠다는 생각들이었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이공계인들은 열심히 개발을 하고 연구를 하지만, 정작 그들보다 위에 있는 사람들은 비행기를 타고 다니는 문과인들이라는데에 박탈감을 느끼는 듯 했다. 운이 좋아, 윗선으로 올라간다 한들, 경영진으로 포진해 있는 재벌 2세, 3세분들의 방어를 위해 사법문제의 최전선에 선다고 한다. 어느 분의 말에 의하면, 교도서 벽 위에서 걷는거와 같다고 한다.

   어쩌면 고민이 너무 많아서 일지도, 혹은 없어서 일지도 모르겠다. 하긴 세상 사람 중에 고민이 없는 사람은 하나도 없을 것이다. 평상심을 가지고 세상에 모든 걱정과 고민이 사라진다던 이야기를 수 많은 책들로 말해줬던 달라이 라마도 엄청난 고민들을 가지고 있는 거 같으니 말이다.


ps. "습지생태보고서"와 "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를 그린, 내가 좋아하는 최규석 작가가 최근에 그린 6월 항쟁 만화다(링크)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