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니아를 위한 세계 SF 걸작선

Element 2007. 11. 30. 15:11

2학년 때부터 읽기 시작해서 드디어 다 읽었다.
페이지가 800페이지 정도 되니 하루에 한쪽씩 읽으면 지금쯤 다 읽었을 것이다.
이렇게 미루어지게 된거는 2학년 때 읽다가 중간에 다 못읽어서 멈췄기 때문이다.
2년만에 다시 읽으려고 하니, 한번 읽었음에도 전혀 기억이 안나 모르고 또 읽은 작품들이 많았다.
뭐 그렇다고 나쁜 것은 아니다.
다시 읽어도 또 한번의 기쁨도 또 다른 생각을 하게 해주었으니

SF라는 것이 Science Fiction이 아닌 Science Fantsy로 생각되어 우숩게 취급 받고 있다.
주로 다루고 예견했던 우주여행 혹은 로봇 등이 예상했던 급진적인 발전을 못했기에, SF를 Fiction이 아닌 Fantsy처럼 되어버렸다.
사실 미래를 예견하고 선지하는 선각자적인 역할을 하는 작품들이 많다. (물론 아닌것도 많지만..;;)
핵폭탄이 나오기 50년전에 핵전쟁의 위험함을 인식했고, 인공위성, 미사일 등등도 수십년 전에 SF에서 소설에서 나온다.
또한 로봇의 기본 3원칙을 성립한 것도 SF 소설에서 였다.
다만 기술이 작가들의 상상력을 뒷받침해주지 못해서, 혹은 그들이 너무 과학을 맹신해서 아직 현실도 다가오지 못했을 뿐이다.

그래도 그 중에 작가들의 상상력을 뛰어넘어선 것이 있다.
바로 IT의 발달로 시작된 인터넷 혁명이다.
미래에 우주로 나가고 다양한 외계종족들과 만나 그들과 생활하는 것을 꿈꿔온 그들이지만,
우주가 아닌 WWW라는 전지구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가상의 또다른 세계를 만들 줄은 예상하질 못했다.

내가 한동안 까먹고 있었던 ICU를 오게된, 그리고 전산을 선택하게된 이유가 떠올랐다.
바로 다른 기초 과학 또는 공학에서는 할 수 없는 현실에서의 실현을 전산에서는 가상의 세계(컴퓨터 또는 웹)을 통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 많은 과학자들이 사람을 달로 보내기 위해 연구했지만, 결국 달에 갔다온 자는 십여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 가상의 세계에서는 아이디어만 있으면 수 많은 사람이 있을 필요가 없을 뿐더러, 직접 자신의 달을 갈수도 있다.
이 것은 꿈을 꾸는 것뿐만 아니라, 꿈을 현실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SF 소설을 쓴 작가들 그리고 독자들이 즐긴 것은 그들이 꿈꾸는 즐거운 상상이다.
나도 책을 읽으면서 참으로 많은 그리고 즐거운 상상들을 많이 했다.
'외계의 다른 종들과 같은 공부를 가지고 경쟁을 하면 어떻게 될까?'라던가.
'짝이 맞는 클론들을 만들어주면 더 이상 짝을 찾아헤매지 않게 될까?' 같은 상상 말이다.
그 상상이 다가올 미래에 올지 아니면 영영 올 수 없는 10차원의 문제(초끈이론)인지는 모르지만.
그 가능성을 배제하더라도 다가올 새로운 미래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마냥 기쁠 수 밖에 없다.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