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의 나라

Acropolis 2009. 2. 4. 01:14
미신과 경제학의 차이는 객관적이고 설명가능한 과정의 유무에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경제 전망을 듣기 위해 무당을 찾아간 경우와 경제학자를 찾아간 경우를 생각해보자.

무당은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소리를 낸 다음에 전망을 내놓을 것이다.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건 무당이 일방적으로 한 무당의 예측일뿐 중간에 과정이나 원인은 알 수 없다.
설령 그 예측이 안맞는다고 한들 우리는 무당에게 뭐라고 할말이 없다.
그는 주관적인 예측을 했을 뿐이고 객관적인 근거없는 그의 말을 믿은 것은 우리의 잘못임을 누구나 알고 있게에.

반대로 경제학자를 찾아간 경우, 그는 여러가지 객관적인 자료들과 통계들을 가지고 앞으로의 경제 전망을 말해 줄 것이다.
객관적인 기준을 가지고 예측을 한것이기에 어느 경제학자를 찾아가도 비슷한 전망을 듣게 될 것이다.
만약 그의 전망이 잘못되었다고 해도 그 예측의 객관성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상치 못한 변수가 생겼다거나 혹은 그가 경제를 전망하는데 썼던 방법론에 오류가 있었을 뿐이다.
즉, 그가 다시 경제를 전망하던 시점으로 돌아가도 같은 전망을 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아인슈타인 이전의 물리학자들이 뉴턴 역학을 가지고 물리 연구한 것이 잘못이 아닌 것처럼.


몇일전 SBS에서한 대통령과의 토론을 보면서 큰 한숨을 내쉴 수 밖에 없었다.
경제에 대한 전망을 내놓기는 하지만 그에 대한 방안이나 방법은 전혀 이야기를 하지 못했다.
세계적인 불황으로 한국도 경제가 전망이 어렵다는 이야기까진 괜찮지만,
대통령이라면 더 나아가 그에 대한 원인 분석과 방안까지 말할 수 있어야 한다.

한 나라를 이끄는 대통령에게 필요한 것은 무당과 같은 선지력이 아니라 경제학자와 같은 객관적인 경제 전망이다.
하는 예측마다 모두 들어맞는 뛰어난 무당이라고 한들 현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그가 하는 일이라곤 부적을 만들어 주는 일이고 그게 잘 안되면 복채가 부족하다며 굿을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게 한들 사회에나 국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을까?

경제학자가 긍정적인 예측을 한다고 해서 꼭 좋은 것도 아니고 부정적인 예측을 한다고 해서 꼭 나쁜 것도 아니다.
부정적인 예측은 그 예측을 만든 원인들을 알게 함으로써 미래를 좀 더 긍적적으로 만들 수 있다.
우리가 무당이 아닌 경제학자에게 전망을 묻는 것은 미래를 미리 알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런 이유 때문이지 않는가.


경제성장률이 7%에서 -4%로 바뀌었는데도 바뀌지 않는 정부의 경제정책을 보면 이런 기분이 든다.
무당에게 찾아가서 점꽤를 들었을 때의 기분이 아마 지금과 같을 거라고.
원인도 분석도 대책도 없고 단지 예측가능한(?) 미래만 존재하기에.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