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진을 보는 눈

Element 2009. 1. 5. 12:35

   결정적 순간을 이야기한 카르티에 브레송, "만약 당신의 사진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그건 충분히 가까이에서 찍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던 로버트 카파. 사람들이 좋아하고 내가 좋아하는 작가들은 모두 근대사진작가들이다. 왜곡이나 조작없이 있는 모습을 그대로 담는다는 다큐멘터리적 리얼리즘을 존중했던 사진가들, 우리는 그들은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사진을 남겨주었다. 그러나 그와 반대로 현대사진은 피카소 이후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해를 포기해버린 현대예술과 같은 존재가 되어 외면을 받았다.
   나는 사진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이고 싶었다. 그리고 또 한가지, 내가 이상으로 생각하던 다큐멘터리 사진이 현실을 있는 그대로 찍을 수는 있어서 현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 할 순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 또 다른 이유였다. 왜 사진가들은 사람들이 좋아하고 쉽게 이해하는 사진을 버리고 현대사진으로 가게 된 것일까? 그에 대한 해답이 바로 이 책 안에 있었다.

   책은 두껍지 않은데 내용은 쉽지 않았다. 현대 사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대 예술이 왜 추상성과 오브제화 되었는지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했지만 이 책은 그렇지 않은 독자들도 이해 시키기 위해서 다양하고 많은 설명을 넣는 방식을 채웠다. 최대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노력했기에 소설처럼 술술 읽히는 책이 될 수 없었다. (덕분에 책을 한 3~4개월동안 읽은 듯 하다 -ㅁ-). 중간 중간에 등장하는 사진들은 앞에서 설명한 내용을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보조자료였고 한편으로는 새로운 사진에 대한 영감을 얻는 계기 되었다.
   유일한 단점은 Chapter 14에서 나온 동성애에 대한 이야기였다. 초판이 1988년에 나온거라 그런지는 몰라도 (읽고 있는 건 2003년 개정판) AIDS -> 동성애자 -> 병리적&퇴폐적 현상이라고 말하는 저자의 설명에 깜짝 놀랄 수 밖에 없었다. 그전까지는 개방성과 포횽력을 말하면서 현대사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범위와 한계가 없는 예술을 이해하고 그걸 포횽해야 한다고 말해왔던 저자가 갑자기 동성애자를 AIDS의 화신이자 퇴폐성의 상징으로 말하는 것이다. 사실 동성애자가 AIDS를 만들었다는 낭설이 사회 전반적으로 퍼져있긴 하지만 사실 이성애자의 AIDS비율이 동성애자의 AIDS비율에 비해 훨씬 높다는 것은 벌써 통계적으로 나온 결과이다. 병이 아닌 신체적 차이인 동성애를 저렇게 말하는 모습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미학 오디세이를 읽으면서 이어지는 내용이지만 사진에서도 있는 현실을 그대로 찍는 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결국에는 사진이라는 도구를 통해서 작가의 생각이나 주장을 제대로 표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가수들이 부르는 노래 중에 사랑노래가 많은 것이 그 마음을 '사랑'이라는 단어 하나로 표현 할 수 없어서 인것처럼, 사진을 찍는 사람도 사진을 찍는 목적인 대상이 아닌 자신의 생각이나 마음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래서 난 무엇을 찍고 무엇을 표현할 것인가?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