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유아사 마코토에 해당되는 글 1건
- 2010.02.21 빈곤에 맞서다 3
글
빈곤에 맞서다
Element
2010. 2. 21. 20:21
친구의 부름에 술자리에 갔다가 졸업하고는 처음으로 초등학교 동창을 만나게 되었다.
비록 나는 그 친구를 전혀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지금도 기억이 안난다...-ㅁ-)
그 친구에게 몇살 아래인 남동생이 하나 있다고 한다.
이번에 휴가를 나오면서(친구는 ROTC로 복무 중) 동생을 만났는데 동생을 만나는 동안 자기가 모든 돈을 냈다고 했다.
일주일 동안 같은 옷만 입고 있어서 옷도 사주고 밥도 사주고.
돈 없이 생활하던게 너무 힘들었던지 "나는 돈을 엄청 많이 벌꺼야"라고 말할 정도로 돈에 대한 한이 눈에 보였다고 한다.
친구 말로는 그 나이 또래에 노는 여자애들에게 동생이름을 말하면 갑자기 애들이 싹싹해질 정도로 고향에서는 잘나갔던 동생이었다고 하는데,
고등학교 때 잘나가는 애들(?)의 대부분이 그렇듯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는 바로 세상에 내몰린 것 같다.
친구 말로는 자기집 형편이 좋은 것도 아니라고 했으니, 아마 대학도 안갔을 것이고 졸업하고 구할 수 있는 것은 아르바이트 뿐이었을 것이다.
Free라는 단어가 왜 붙었는지 이해는 못하지만 일본 프리타의 한국판이 바로 친구 동생이라고 할 수 있을거 같다.
우리가 일본을 말할 때,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10년이 뒤쳐져 있다는 말을 많이 한다.
그 말을 반대로 해석하면 지금 일본의 모습이 10년뒤 우리나라의 모습이 될 가능성이 많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90년대 초반 일본에 갑작스럽게 찾아온 불황의 늪은 완전고용이라는 일본의 문화를 180도로 바꾼 계기였다.
그 후의 이야기는 IMF를 겪은 후,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이야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무너지지 않을 것 같던 대기업, 은행들이 하나둘씩 무너졌고 완전고용이라는 단어가 사라졌다.
노동유연성이라는 명목으로 정규직 일자리들은 하나둘 비정규직으로 대체되었고,
한창 일을 하고 있는 세대에게는 해고의 불안감이, 일을 잡으려는 사회 초년생에게는 비정규직의 불안감이 함께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러한 사회적 불안감이 가속화되고 사회가 점점 더 하향평준화 된다는 것을 가장 절실하게 보여주는 것이 도시 곳곳에서 늘어나는 노숙자들의 숫자였다.
의식주,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기본적이 3가지 요소도 충족시키지 못한 사람들이 늘어난다는 것은 사회가 안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부정할 수 없는 증거이다.
지은이의 글 중 가장 신선했던 것은 '다메'에 대한 이야기였다.
일본어로 '저수지'를 뜻하는 다메xx에서 따왔다고 하는 이 단어는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물질적, 사회적 여유(자본)을 뜻한다.
각자 가진 다메의 크기에 따라 같은 위기에 처하더라도 대처와 결과는 달라지게 된다.
일거리를 구하지 못해 잠자리나 밥 걱정을 하게된 사람이 있더라도 그 사람에게 부모라는 다메가 있다면,
부모가 가진 집과 부모가 제공해주는 밥을 통해 잠시 찾아온 위기를 어렵지 않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메가 작은 사람이라면, 즉 의지할 부모도 없고 도움을 받을 만한 친구도 없는 상황이라면,
잠시 찾아온 이 위기가 그 사람에게는 정말 절체 절명의 위기가 될 수 있다.
이런 개개인간의 다메를 고려하지 않고 빈곤 문제를 생각한다면 상당히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한 가지는 빈곤의 대물림 만드는 5중 배재에 대한 이야기이다.
교육과정에서의 배제, 기업 복지에서의 배제, 가족복지에서의 배제 , 공적 복지에서의 배제,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서의 배제까지.
빈곤은 이러한 5가지의 배제를 순서대로 만들어나가고 결과적으로는 자기 배제의 극단적인 사례까지 만들게 한다.
사회적 문제 또는 구조적 문제들까지 개개인의 잘못으로 돌림으로써, 결과적으로 자기 자신까지 배제하게 되는 상황까지 만들게 된 것이다.
내 글 솜씨의 한계상, 이 책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는 게 무척 아쉽다.
아쉬움이 남을 정도로 다른 사람들에게 꼭 한번 읽어보라고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특히, 역이나 지하도로에 있는 노숙자들이 막노동이나 해볼 생각을 하지 않고 왜 그러고 있는지 궁금한 사람이라면 더욱 더.
추가. 도움이 될만한 경향신문 기사
http://media.daum.net/economic/view.html?cateid=1041&newsid=20100221181709702&p=khan